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이번 문제와 관련하여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또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문제에 대한 저의 견해를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축기사 실기문제는 비공개이므로 원본과 똑같은 문제는 구하기 어려우나 그동안 출제된 문제로 유추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출제된 문제]

위 문제와 같거나 유사하다고 볼 때 출제 오류 및 채점 오류에 대한 의견입니다.
1) 출제 오류
이번 시험문제 중 “(1) 8톤 덤프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운반토량을 구하라”는 질문은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조건이 주어지지 않아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가 없습니다. 질문의 해석 여하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잘못된 문제입니다.
즉 8톤 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운반토량은 ① 자연 상태를 기준으로 한 토량의 답을 묻는 것인지 ② 부피 증가율을 고려한 흐트러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 토량의 답을 묻는 것인지 위 질문만으로는 어느 상태를 기준으로 한 토량을 구하라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2) 채점에 대한 오류 의심
이번 건축적산 시험문제는 이 문제의 정답을 도출하기에 필요한 명확한 조건제시가 없었고, 실기시험의 문제와 정답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무엇을 정답으로 삼아 채점하였는지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나 2017년 시행한 국가기술자격 제1회 건축산업기사의 [건축시공] 과목 필기시험에서 이 시험문제와 유사한 문제의 정답을 공개한 사실이 있습니다. 당시 공개한 문제의 정답을 근거로 삼아 이번 시험에서의 적산 문제의 정답을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위 문제에 대하여 당시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공개한 정답은 “②번 12대”이었습니다. ②번이 정답이 되는 풀이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6t 트럭 1대당 적재량은 6t/1.8t = 3.33m3
* 운반대수 = (1.2 + 0.8)/2 × 0.8 × 40 × 1.25 / 3.33 = 40/3.33 = 12대
즉 적재량에는 부피증가율 1.25를 곱하고, 차량 1대당 체적에서는 1.25를 곱하지 않는 계산식일 때 “②번 12대”가 정답이 되는 것입니다.
한편 이번 건축적산문제의 풀이 방법에 의해 이번 문제를 풀이하면 “(1) 8톤 덤프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운반토량을 구하라”의 답은 4.44m3 가 되고, “(2) 8t 덤프트럭의 대수를 구하라”의 답은 1,969대가 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근거로 풀이한 답이 오답으로 처리되어 불합격의 원인이 되었다면 이는 상기 2017년 건축시공 기출문제의 정답으로 볼 때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시한 정답을 부정하는 채점오류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이번 시험문제는 출제자가 질문에 구체적이고 명확한 조건을 주지 않아 응시자의 해석 여하에 따라 다른 답이 나올 수밖에 없다면 이는 명백한 출제오류가 될 것입니다.
다시 한번 이번 문제로 인해 수험생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며, 수험생 여러분께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좀 더 자료를 수집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