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25년 건축시공 교재 41p network 공정표의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강*진 등록일 2025.01.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고생하십니다, 교수님. 41p의 2번째 문단의 2번 '종료 결합점에서 지정공기로서 LFT를 넣으면 지정 공기에 대한 LST,LFT가 구하여 지고 반대로 역진 계산의 초기의 값을 계싼 공기로 하였을 때에는 계산 공기에 대한 LST, LFT가 구해진다.' 문구과 4번 '종속작업이 복수일 때는 LST의 최소값이 그 작업의 LFT가 된다'라는 문구가 잘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혹시 그림으로 도식화 된 자료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오른쪽에 전진 역진 계산에 대한 예가 나와 있기는 하지만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특히 LFT의 최소값이 그 작업의 LFT가 된다에서 종속 작업이 복수라는게 특정 작업의 앞에 존재하는 것인지, 뒤에 존재하는 것인지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추신: 항상 강의 재미있게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돵

  • 한규대 |(2025.01.31 03:16)

    답변입니다:*먼저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1)질문하신 p41의 2번항목은 시험에서는 크게 영향이 없는 참고적인 내용인데요,/*지정공기란 계약공기를 말하는 것으로 건축주가 요구하는 공기이구요, 계산공기란 공정표에서 계산된 공기를 말합니다../만약 계산공기가 지정공기보다 크게 나오는 경우에는 공기를 단축하거나 지정공기를 연장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아 두시구요,,/지정공기던 계약공기던 LST나 LFT값을 구할 경우는 역진해서 구한다는 원론적인 내용만 알아두시면 되겟습니다./*똑같이 종료결합점의 LFT값으로 지정공기나 계산공기를 구한다는 것으로만 이해해 두시면 되겠어요,,,

    2)P41의 옆에 그려진 그림에서와 같이 EST,EFT값은 전진해서 화살표 방향대로 구하는데 여러개의 작업이 함께 관여되는(복수의 작업에 종속되는 경우)경우에는 계산을 할때 각 작업 날수중 많은 날수(최대값)가 그 이벤트의 EST,EFT값으로 계산을 한다는 것이구요,,/그 밑의 그림처럼 LST,LFT값을 구할때는 화살표가 반대로 있따고 가정을 하고 마지막 이벤트에서 자신의 날수를 빼주어서 구하는데 마찮가지로 여러개의 작업이 관련되는 이벤트에서는 그 각 작업의 날짜 중에서 최소값으로 계산이 된다는 검니다,,,참고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