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M_E = 0 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B를 E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2) 어느쪽을 먼저 계산하느냐의 차이이며, 결과는 같습니다.
E점에서 모멘트평형 ∑M_E = 0을 적용하면 미지수 4개중에서 H_A, H_E, V_B 3개가 소거되고 A지점의 수직반력 V_A가 계산되며, 수직평형조건에 의해 V_B가 계산이 됩니다.
A점에서 모멘트평형 ∑M_A = 0을 적용하면 미지수 4개중에서 H_A, V_A, H_B 3개가 소거되고 B지점의 수직반력 V_B가 계산되며, 수직평형조건에 의해 V_A가 계산이 됩니다.
힌지절점은 회전저항을 못하므로 M=0이라는 조건방정식이 성립됩니다.
C점의 왼쪽을 M=0의 계산대상으로 삼는다면 미지수 H_A가 먼저 계산되고, 수평평형조건에 의해 H_B가 구해집니다.
C점의 오른쪽을 M=0의 계산대상으로 삼는다면 미지수 H_B가 먼저 계산되고, 수평평형조건에 의해 H_A가 구해집니다.
결과는 같습니다.
(3) 휨모멘트라는 부재력은 지점반력을 구한 다음 특정의 위치를 수직절단하여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쪽 부분의 힘*거리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B점은 고정단, A점은 자유단인 캔틸레버구조에서 B점의 반력을 구한 다음 C점을 수직절단하여 자유단 A쪽을 바라보고 휨모멘트 계산을 시도하면 고정단 B의 반력을 구할 필요가 없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63페이지에 [캔틸레버보의 특징]에 관한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