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총토압 문제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14개년 과년도 상세해설 > 안광호
글쓴이 김*겸 등록일 2025.02.12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2011년 4회 26번 총토압 문제에서 흙의 무게 구하는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흙의 무게 (1m)(1.8^2 ㎡- 0.35^2 ㎡) 에서

    1m 값이 어떤 것을 적용했는지 그리고 기초판의 면적에서 기둥의 면적을 빼주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기초판 : 1.8m × 1.8m × 0.5m

    기 둥 : 0.35m × 0.35m ×1m

    철큰콘크리트중량 : 2,400kg/㎥

    흙의 중량 : 2,082kg/㎥

    고정하중 900KN

    활하중 500KN

     

    (1) 흙과 철근콘크리트의 단위무게 계산

    ① 흙의 단위무게: 2,082kg/㎥ × 9.8m/sec2 = 20,404N/㎥

    ② 철근콘크리트의 단위무게: 2,400kg/㎥ × 9.8m/sec^2 = 23,520N/㎥

    (2) 기초판의 바닥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 계산:

    ① 기초의 고정하중: (1.8m × 1.8m × 0.5m)(23,520N/㎥) = 38,102.4N = 38.10kN

    ② 기둥의 고정하중: (0.35m × 0.35m ×1m)(23,520N/㎥) = 2,881.2N = 2.88kN

    ③ 흙의 무게: (1m)(1.8^2 ㎡- 0.35^2 ㎡)(20,404N/㎥) = 63,609.47N = 63.61kN

    ④ 사용하중: 900kN + 500kN = 1,400kN

    ⑤ 총하중: 1,504.59kN

     

  • 안광호 |(2025.02.14 14:02)

    안녕하세요,,,

    그림상에서 기초판 위의 흙의 높이는 1000mm=1m 이며, 1.8m*1.8m의 정사각형 기초판 위의 흙 중에서 기둥의 크기 0.35m*0.35m를 뺀 만큼이 흙의 면적이 됩니다.

    흙의 면적에 흙의 높이를 구하면 흙의 체적이 m^3 으로 계산되고, 흙의 단위무게를 단위변환을 시도한 값이 20,404N/m^3 이므로 두개의 지표를 곱하게 되면 흙만이 기초판을 누르는 힘이 63,609N이 되며, 이것을 kN으로 변환하면 63.609kN이 된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