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25개정판 적산문제에 대하여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사실기바이블(TheBible)
글쓴이 김*재 등록일 2025.02.27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2024년 3회 건축기사 실기 응시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2025개정판 더 바이블 책을 구매하여

    논란의 2024년 3회 기출문제를 보았는데 해당 문제에대한 

    공단에 대한 행심을 진행할때에 4.44와 1969대가

    맞는 정답이다라고 인정하시고 그 근거자료를 준비해주셨었는데

    문제조건과 풀이과정 결과가 다르게 출판이 되었기에 문의드립니다.

     

  • 한솔아카데미 |(2025.02.28 14:50)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적산 문제는 16년도에 출제되었으며 이번 24년도 3회에도 출제된 바 있습니다.

    기출문제는 공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출제된 원본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습니다만

    논란이 많은 문제로 현재도 이의신청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 논란이 되는 이유를 설명 드린다면

     

    (1) 단위중량에 대한 해석의 차이

     

    일반적으로 흙의 무게를 구할 때는 체적에 단위중량을 곱하는데

    이때 단위중량은 품셈 책에 나와 있는 기준을 참고합니다.

    예를 들어 모래질흙인 경우 표준품셈에서 제시하는 단위중량은 1.7~1.9 t/m3 이니 중간값을적용하면 체적 1m3 의 무게는 1.8t입니다.

    이 경우 8ton 트럭에 실을 수 있는 체적은 4.44 m3 가 됩니다.

    이러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량산출법이며 현장이나 일반인들이 대부분 이렇게 물량산출을 합니다.

     

     (2)이론적으로 따지면 흐트러진 상태냐 자연상태냐에 따라 무게가 달라진다.

     

    흙은 땅 속에 묻혀 있을 때와 그것을 파 내어 차에 싣는 상태(흐트러진 상태)의

    부피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렇게 부피가 달라지는 만큼 무게도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니

    체적 1m3의 무게 1.8t(자연상태)일 때, 부피증가율을 25%로 본다면,

    흐트러진 상태에서는 25%만큼 무게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흐트러진 상태에서는 체적 1m3의 무게는 1.44t이 되어

    8ton 트럭에 실을 수 있는 체적은 5.56m3 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본다면 두 번째의 경우도 해석이 가능할 수 있으나

    철근 목재 등과 달리 흙인 경우는 장소에 따라 흙의 구성비나

    습윤 상태에 따라 편차가 크기 때문에 부피의 증가를 계산하는 것과는 달리

    단위중량의 변동은 정확한 1개의 값으로 나오지 않고

    그때 그때 흙의 상태에 대한 단위중량을 구할 수도 없는 것이기에

    일반적으로는 1번과 같이 물량산출을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두가지의 해석이 가능하고 대학교재에서도 두가지 경우가 다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출제될 경우 논란이 생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험공부를 계속해야하는 수험생 입장에서는 논란을 떠나

    이번 이의신청의 결과만을 기다릴 수가 없고 당장 또 수험준비를 해야 하기에

    이의 신청은 신청대로 진행하는 한편,

    이후 어떠한 유사문제가 나온다고 할 경우

    현장에서의 물량산출 뿐만 아니라 이론적 해석에만 의존한 문제출제라고 하더라도

    출제자의 의도를 먼저 파악하여 출제가가 원하는 답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두가지의 경우를 모두 반영한 문제를 제시하여 드린 것입니다.

    따라서 16년도 기출문제에서는 상기 첫 번째의 경우로 해석하고 조건을 구체화하여

    첫 번째의 경우처럼 흐트러진 상태의 단위중량이 주어지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며

    24년도 기출문제에서는 상기 두 번째의 경우로 해석하여

    두 번째의 해석에 의한 출제가 될 경우에도 맞춰 답을 제시할 수 있도록

    문제의 조건에서 흙의 단위중량이 “자연상태”인 것을 강조하여 제시하여 드린 것입니다.

     

    그러나 이 모두는 비공개된 기출문제를 수험생의 기억을 토대로한 복원문제이므로

    실제 출제문제와는 다를 수 있으며 한솔아카데미에서는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어떠한 경우라도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두가지의 사례를 제시한 것이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회원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