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18년도 2회차 적산문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14개년 과년도 상세해설 > 이병억
글쓴이 이*호 등록일 2025.03.05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2018년도 2회차 3번문제에서 

    운반대수 산정시 L값 1.25를 이미 1대당 토량에서 계산을 하였는데 운반대수에서도 또 삽입하여 계산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이런식으로 되면 분모 분자에 1.25가 둘다 들어가 약분되어 할증을 고려 안하는 것과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또한 이문제에서 72m^3 X 1.6t/m^3 X 1.25 / 6t 이 계산식은 왜 안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이병억 |(2025.03.07 10:00)

    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문제처럼 트럭의 대수를 계산하는 문제는 다음 식들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트럭의 대수= 작업토량의 중량/트럭의 적재중량

    이 방법은 흙의 상태가 변하여도 중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2. 트럭의 대수=작업토량의 체적(흐트러진 상태)/트럭적재체적(흐트러진 상태)

    이 방법은 작업토량을 자연상태의 토량에 L값을 곱하여 흐트러진 상태로 환산하고 트럭의 적재체적 역시 흐트러진 상태로 적용하여 풀이하는 방법입니다.

    질문하신 문제는 흙의 단위중량이 흐트러진 상태의 단위중량이 아니라 자연상태 단위중량이 주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1대당 운반토량은 자연상태의 적재체적에 L값을 곱하여 흐트러진 상태의 적재체적으로 환산후 트럭의 대수를 산출해야 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