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실기 구조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실기] 건축기사 단기완성패스 / 종합반 > 안광호
글쓴이 노*훈 등록일 2025.03.0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건축기사 실기 바이블 2권(기출) 공부 중입니다.

    129쪽 21번 문제를 보면(T자보의 중립축위치 계산 문제) 풀이에는 a값을 구한 후, 소숫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 그 이후 베타값으로 나누어 중심축위치를 계산합니다.

    문제가 되는 점은 a값이 20.9150으로 나오기 때문에 반올림하여 a = 20.92로 산정하고 계산하였을 때 중심축위치는 26.15가 나오지만, a값을 반올림하지 않고 계산기에서 바로 베타값(0.8)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26.143(반올림하면 26.14)가 나와 답과 다른 값이 나옵니다.

     

    이런 경우 정답처리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며, 위의 두 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풀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만약 첫 번째 방법으로 풀어야 한다면, 적산 분야에서도 슬래브/보/기둥의 거푸집량 계산시 세 항목을 전부 반올림하여 더하고 또 반올림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안광호 |(2025.03.08 10:10)

    안녕하세요,,,

    문제의 조건에서 소수점을 지정해주면 그대로 따르지만, 소수점이 지정되지 않는다면 계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답안의 범주에 인정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물량산출과 관련된 적산분야는 단위변환이라는 체계가 큰 의미가 없으므로 한국식 관습단위인 cm의 의미로 소수2자리를 많이 쓰지만, 건축구조분야에서는 단위변환이 빈번하므로 3자리의 단위변환 체계의 유용성이 부각되어 소수 3자리를 많이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사회는 소수점 두자리로 표현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거리를 cm라는 10^-2 체계의 centi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사회,,,쉽지 않고 굉장히 복잡한 구조체계를 가진 나라이며, 하나의 예를 들자면 키가 180이다라고 한다면 180cm로 알아채야하고, 신발사이즈가 270이다라고 한다면 270mm로 알아채야 하는데 이것을 혼동하면 바보가 되는 사회입니다.

    반면 국제규격 SI는 거리를 mm라는 10^-3 체계의 milli를 사용하므로 소수세자리를 많이 표현하며, centi의 짝수체계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3의 홀수 배수체계는 계산 및 변환이 매우 유용한 체계입니다. 천원이라는 돈이 있을때 1000으로 표현하지 않고 1,000으로 하고, 백만원이라는 돈을 1000000으로 표현하면 인식이 어려우므로 이것을 1,000,000으로 표현하는 것도 하나의 예가 될 수 있겠습니다. 유용하죠? ^^a

    결국,,, 특정의 요구조건이 없는 경우 계산문제는 소수 두자리든 세자리든 상관없다는 의미가 되며 편리한 쪽으로 소수처리를 하셔도 수험생에게 불이익은 전혀 없습니다.

    힘을 한국식의 g, kg으로 나타내지 않고 국제규격의 N,kN으로 나타낸다는 것은 결국 한국사회도 국제사회의 일원이며 구조분야는 이미 2005년부터 국제규격을 따르고 있음을 참고해두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처짐각, 변형률, 철근비와 같은 특정의 공학지표들은 매우 작은 수치로 나타내는 값이며 대부분 딱 맞아떨어지는 숫자가 아니기 때문에 무한의 소수점 아래의 숫자가 반복되는 지표들입니다.

    이때 유효숫자라는 개념을 도입하는데 소수 5자리를 관용적인 기준으로 정합니다.

    이 말은 소수 5자리보다 적은 4자리,3자리,2자리로 하면 오차가 굉장히 크게 발생하게 되고,

    소수 5자리보다 많은 6자리, 7자리, 8자리 등으로 하게 되면 5자리의 값과 별 차이가 발생되지 않게 됩니다.

    그렇다면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해당문제의 요구조건에서 소수점을 지정해주면 그대로 따르고,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처짐각, 변형률, 철근비와 같은 지표는 소수5자리로 표현을 하고 나머지 지표들은 소수2자리든 3자리든 상관없다라고 결론지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