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수점 처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마련해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적산문제의 경우 특별히 문제의 조건에서 소수점처리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소수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둘째자리까지 최종답안을 산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계산과정에서 소수점처리를 셋째자리로 하든, 둘째자리로 하든 상관은 없으며 계산과정의 소수점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최종답안의 오차는 답안의 오차범위내에 인정되므로 걱정할 문제는 아닙니다.
(2) 구조시험문제는 특별히 문제의 조건에서 소수점처리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처짐각, 변형률, 철근비와 같은 지표는 매우 작은 지표이므로 소수5자리로 답안을 표현합니다.
위의 3개의 지표 이외에는 소수셋째자리나 소수둘째자리 둘 다 상관이 없는데,
소수셋째자리는 단위변환이 3자리수로 변환된다는 내용 때문이 되겠고,
수소둘째자리는 거리의 단위를 10^-2 의 centi로 표현하는 한국식 관습의 내용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의 경우든 (2)의 경우든 계산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수점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최종답안의 오차는 답안의 오차범위내에 인정되므로 걱정할 문제는 아니며, 오히려 최종답안의 단위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표현해주시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모멘트를 N.mm 내지는 kN.m로 표현해야 하는데, N/mm 내지는 kN/m로 표현하게 되면 계산과정은 아무 의미가 없는 오답이 된다는 점이라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