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험문제의 요구조건이 최우선인데, 구조시험문제의 경우 대부분 소수점 처리에 대한 제시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숫자에 대한 단위변환 과정이 3자리수로 되기 때문이며 1,000,000,000N이라는 힘이 있다면 1,000,000kN = 1,000MN = 1GN 으로 단위변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10억이라는 숫자가 백만이 되기도 하고 천이 되기도 하며 1일 되기도 합니다.
이럴때 소숫점의 몇자리를 논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행위가 되어버립니다.
거의 대부분 이러한 이유로 소수점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으며, 계산과정에서 소수점 처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른 최종답안의 오차는 오차범위를 설정하여 채점하므로 수험생이 걱정할 부분은 전혀 필요없습니다.
(균형, 최대)철근비, 처짐각, 변형률 과 같은 지표는 1보다 매우 작은 지표이며 대부분 소수점으로 나타나므로 소수다섯자리를 유효숫자로 처리합니다.
위의 세가지 지표 이외는 문제의 요구조건이 없는 한 한국식만의 관행의 소수두자리나, 국제식(한국 포함) 관행의 소수세자리 어느 것으로 처리해도 된다고 스스로 정의내리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