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베이스 플레이트 시공 시 사용되는 충전재 명칭 관련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The Bible(POINT 이론) > 백종엽
글쓴이 김*하 등록일 2025.09.1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224p 12번 

    강구조공사를 시공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의 시공 시 사용되는 충전재의 명칭을 쓰시오.

    문제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정답이 무수축 몰탈인데 무수축 그라우트는 안되나요? 

    저는 몰탈은 주로 미장용이고 그라우트가 베이스, 바닥 등에 쓰이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걸까요? 

    현업에서 시방서 작성할 때 이때까지 베이스에는 다 무수축 그라우트를 시공하라고 작성을 하곤 해서 확실히 개념을 잡고자 질문 드립니다

  • 백종엽 |(2025.09.15 19:46)

    1. 정의

    무수축 모르타르: 시멘트, 모래, 물 등을 혼합한 결합재로, 수축이 거의 없는 형태

    무수축 그라우트: 구조물 틈새를 채우기 위한 채움재로, 경화 후 수축이 거의 없음

     

    2. 첨가제

    무수축 모르타르: 팽창제, 감수제 등으로 수축 방지

    무수축 그라우트:기능성 혼화제 추가로 유동성 및 비수축성 확보

    3. 용도

    무수축 모르타르: 벽돌, 콘크리트 사이 결합, 기초 보강, 표면 마감

    무수축 그라우트:철골 기초 고름질, 프리캐스트 구조물 접합부 충전, 기계 하단부 고정

    4. 시공방식

    무수축 모르타르: 바르는 방식 (도포)

    무수축 그라우트: 붓는 방식 (타설)

     

    > 상황에 따라 2가지 방식이 다 적용이 됩니다. 모르타르는 "결합재"로서 두 재료를 붙이는 역할을 하고,그라우트는 "채움재"로서 틈새를 메우고 구조를 보강하는 역할을 합니다. 둘 다 수축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지만, 그라우트는 유동성이 더 높아 복잡한 틈새에 적합합니다.

     

     

     

    > 건축 강구조공사: KCS 41

    3.4.5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 치수 및 품질


    (1) 베이스 플레이트의 몰탈은 무수축몰탈로 하며, 강도는 설계도서 또는 특기시방서에 따라 협의 결정한다.


    (2) 몰탈의 두께는 30mm 이상 50mm 이내로 한다.


    (3)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의 몰탈은 사각크기 200mm 또는 직경 200mm 이상으로 한다.

    > 전체 강구조공사: KCS 14

    (1) 앵커링(anchoring)


    ① 대상 구조물 또는 인접한 구조물의 콘크리트 부분의 앵커링 장비는 반드시 해당 규정에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② 필요한 앵커링 저항력을 얻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③ 앵커볼트 설치 시 베이스플레이트 위치의 콘크리트는 설계도면 레벨보다 -30 mm ~ -50 mm 낮게 타설하고, 베이스플레이트 설치 후 그라우팅 처리한다.


    ④ 앵커볼트로는 구조용 혹은 세우기용 앵커볼트가 사용되어야 하고, 고정매입 공법을 원칙으로 한다.


    ⑤ 구조용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앵커볼트 간의 중심선은 기둥중심선으로부터 3mm이상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세우기용 앵커볼트의 경우에는 앵커볼트 간의 중심선이 기둥중심선으로부터 5mm 이상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2) 교량받침 설치


    ① 받침장치 및 앵커볼트 설치에는 무수축재를 혼합한 고강도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그 종류는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상부공사 시공 전 받침장치의 시공상태를 정밀히 측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되 받침의 조정 또는 보정이 필요 시에는 받침장치 설치 시 온도보정과 설치 후 고정하중에 의한 주거더의 이동량에 의하여 보정한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