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4년도 1회 26번 재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14개년 과년도 상세해설 > 안광호
글쓴이 권*원 등록일 2025.10.2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지난번에 해주신 설명 잘 뵜습니다. 그런데...여유 시간에서 차이가 나서 이거에 대해서 여쭙고자 다시 질문드립니다. C의 여유시간이 다릅니다. Case1에서 3번 이벤트까지 안 가고 2번 이벤트에서 C의 여유시간을 계산하는게 맞는 것 같아서 그렇게 했는데...왜 다른건지 이해가 안 갑니다. 어떨때는 넘버링 더미라 실질적으로 끝나는 다음꺼 까지 해서 여유시간을 계산래주고 어쩔땐 넘버링 더미가 나와도 그 전에 끝내고....그 차이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축기사 실기책. 제3편 공정관리 8번 문제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 안광호 |(2025.10.24 19:09)

     안녕하세요,,,

    화살표형 네트워크 공정표를 그리다보면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 두개만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두개만 구분한다면 여유시간 계산에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이벤트에서 실선의 화살표 없이 단 하나의 더미만 발생하는 경우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입니다.

    오직 이 경우에만 해당작업의 여유시간 계산은 바로 다음의 이벤트에서 계산한다고 기억해두시고, 나머지 경우는 해당작업의 종료이벤트에서 여유계산을 합니다.

    나머지 경우라는 것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가 아니라 로지컬더미(Logical Dummy)라는 것입니다.

    첫번째 그림에서 C와 D는 넘버링더미의 관계입니다. 따라서 D작업과 C작업의 여유계산은 반드시 3번에서 해야만 하며, 2번에서 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두번째 그림에서 B와 C는 넘버링더미의 관계이며 두개의 작업 모두 2번에서 여유계산을 하는 것이지, 3번이나 4번과는 무관합니다.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의 관계를 갖는 작업은 상호간 바꾸어서 그려질 수 있는 관계입니다.

    이럴 경우

    (1) 주공정선상의 작업들은 달라지지 않으며, 결합점에서의 일정표현은 달라질 수 있다.

    (2) 주공정선상의 작업들 이외의 나머지 작업들의 여유시간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위의 두가지 사항만 잘 기억해주시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