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의 혼용과 현재 추세
>> 출제를 할때 같이 묻지않지만~~묻게되면 분리를 하시고 별도로 묻는다면 질문대로 해도 문제없습니다.
-
동일한 원리: 슬립 폼(Slip Form)과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모두 콘크리트가 초기 경화되는 시점에 맞춰 요크(Yoke)와 유압잭(Jack) 등을 이용해 거푸집을 연속적(또는 간헐적)으로 미끄러지듯 상승시키는 공법을 의미합니다. 영어 단어 'Slip'과 'Slide' 모두 '미끄러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도입 초기부터 혼용되었습니다.
-
용어 사용 경향: 다만, 최근 국내 건설 기준(KCS, 국가건설기준)이나 기술 문헌
“슬라이딩폼(Sliding Form)”이라는 용어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슬립폼(Slip Form)”으로 통합되어 쓰이는 추세입니다.
즉, 슬라이딩폼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슬립폼으로 명칭이 정착된 것입니다.
만약에 외벽전용거푸집 4가지를 작성해라~~하면
갱폼, 클라이밍폼(RCS,GCS,ACS) , 슬립폼, 슬라이딩폼 이렇게 과거에는 작성을 했고~~
요즘추세로 보면
갱폼,RCS, ACS, 슬립폼 이렇게 작성해도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❶ 과거 구분
예전 교재나 기술사 자료에서는 이렇게 구분하기도 했습니다.
| 구분 | 슬립폼(Slip Form) | 슬라이딩폼(Sliding Form) |
| 의미 |
콘크리트를 연속 타설하면서 거푸집을 서서히 올리는 공법 |
일정 구간(층 단위)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끌어올리는 공법 |
| 방식 |
연속 시공 |
단속(단계적) 시공 |
| 적용 |
굴뚝, 사일로, 코어벽 등 연속체 구조물
단면이 변하는 곳~
|
교각, 기둥 등 부분 단위 시공 구조물
단면이 일정한 곳~
|
❷ 현재 사용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