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중콘크리트의 동결 저하 방지대책 (4점)
- AE제를 사용한다.
-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4. 장주의 좌굴길이 쓰기 (4점) - 계산과정에서 단위 안넣고 숫자만 표시
계산과정: 1. (2.0) X (0.7) = 1.4a
2. (4.0) X (0.5) = 2.0a
3. (2.0) X (1.0) = 2.0a
4. (1/2) X (1.0) = 0.5a
정답: 1. 1.4a 2. 2.0a 3. 2.0a 4. 0.5a
5. 역타설 공법의 장점 (4점)
- 주변 지반과 건물에 영향이 없는 안정적 공법이다.
- 지상, 지하 동시작업으로 공기가 단축된다.
- 1층 바닥판을 작업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천후와 무관한 전천후 작업이 가능하다.
6. 커튼월 공사 누수 방지대책 (4점)
closed joint: 이음부를 완전 밀폐시키 홈을 밀봉시키는 방식으로 고층건물에 사용
open joint: 등압이론에 따라 내외부면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배수하는 방식,
주로 초고층건물에 적용
10. 기둥축소 현상 (5점)
(1) 원인: 구조의 차이, 재료의 재질에 따른 응력 차이, Creep 변형 등
(2) 영향 3가지 :
- 기둥의 축소 변위 발생
- 철골구조재의 변형, 조립불량 발생
- 철골부재의 변형, 조립불량 발생
13. 터파기시 인접건물 주위 지반 침하 원인 (3점)
- 히이빙 파괴에 의한 경우
- 보일링 현상에 의한 경우
- 버팀대를 시공치 않았을 경우
14. 네트워크 공정표 (10점)
이번에 나온 공정표 문제는 13년 2회 기출문제와 토씨 하나 안틀리고
그대로 동일한 문제인데 실기 복원문제에서는 넘버링 더미 2번 부분이 10 6 6 10이 아니라 6 6 6 6으로 되있고 넘버링 더미 1번에서 2번으로 가는 화살표가 주공정선 굵은 표시로 되있는데 어떻게 된 건가요?
저는 실기 시험당시 공정표를 작성했을 때 문제집에 있는아래 이미지 파일에 나온 2013년2회 기출문제 답안과 동일하게 적었습니다. 점수 판정이 어떻게 되나요?


16. 갱폼의 장단점 (4점)
(1) 장점
- 조립과 해체작업이 생략되어 설치시간이 단축된다.
- 거푸집의 처짐량이 작고 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
(2) 단점
- 중량물이므로 운반시 대형양중장비가 소요된다.
- 거푸집 제작비용이 크므로 초기투자비용이 증가된다.
18. 시트 방수공법의 단점 2가지 (2점)
- 온도에 민감하여 동절기나 하절기에 작업이 제한된다.
- 복잡한 시공부위에 작업이 곤란하다.
25. 콘크리트의 알칼리 골재반응 방지대책 3가지 (3점)
- 저알칼리 시멘트 사용
- Fly Ash 사용
- 방수제를 사용하여 수분을 억제한다.
저는 부분점수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