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과 같은 그림에서 주철근의 직선 정착길이를 산정하기 위한 C값의 산정에서
C = [철근중심에서 피복표면까지의 최단거리, 정착철근 또는 철선의 중심간격의1/2]min
으로 알고있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질문1.
철근중심에서 피복표면까지의 최단거리가 스트럽인가요 아니면 주철근인 인장철근인가요??? 스트럽이라면 40+5 = 45mm 이고, 인장철근까지라면 40+10+12.5=62.5mm인데 값의 차이가 너무 커서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겠네요 ㅠㅠ
질문2.
그리고 정착철근 또는 철선의 중심간격의 1/2는 인장철근일 것 같은데요
(500-40-40-10-10-12.5-12.5)x1/5 x 1/2 = 37.5mm 이렇게 알고 있어도 될까요?
질문3.
스트럽은 철선 또는 철근 또는 용접이형철망으로 구성한다라고 알고 있는데 인장철근은 철선으로 구성이 가능한가요?? 아니면 철근으로만 구성해야 하는 것인가요??
띠철근 또한 철선이랑 철근으로 구성이 가능한가요??
질문이 3개라서 죄송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