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평의 보에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휨응력(M/Z)이 발생합니다.
만약 수평의 보에 수평하중이 인장의 형태로 작용하면 인장응력(+P/A)이 발생하고, 압축의 형태로 작용하면 압축응력(-P/A)이 발생됩니다.
그런데, 건축기사시험에서는 수평의 보에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를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
캔틸레버 라멘구조는 수평의 보와 수직의 기둥으로 구성됩니다.
수평의 보의 자유단에 수직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기둥의 입장에서는 수직하중에 대한 압축응력(-P/A)과 수직하중이 기둥의 도심에서 떨어진 거리만큼의 모멘트에 대한 휨응력(M/Z)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은 기둥에는 압축과 휨이 같이 생긴다는 의미가 됩니다.
만약, 기둥쪽의 도심에 수직하중이 작용한다면 기둥에는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휨응력(M/Z)이라는 것은 발생하지 않으며, 순수한 압축응력(-P/A)만 발생할 것입니다.
어떻게 다른 것인지는 그림의 의미를 직접 관찰하고 적용을 해나가는 것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