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공동주택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계획 > 이병억
글쓴이 최*용 등록일 2020.05.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중복도는 왜 축을 남북으로 길게하고 편복도는 왜 축을 동서로 길게 하나요?

     

    2. 4번 선지 해설도 부탁합니다. 거실은 현관에서 복도를 거쳐 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거실은 직접 출입이 가능하게 한다라는 말의 뜻이 궁금합니다

     

    3. 거실의 독립적으로 계획하는게 왜 공간의 융통성을 높일수 있는 방안인가요? (107p 264)

     

    4. 페리 근린주구 이론에서 지역의 반지름은 약 400m인데 그럼 단지내에서 학교까지 최대 보행거리는 800m 맞나요

     

     

    5. 창고 최상층 높이는 기준층 + 60-90cm 인가요 30-60cm인가요? 책에는 둘 다 나와있네요

     

     

    6. 기둥간격에서 사무소에서는 코어형식이 직접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백화점 기둥간격 결정요소에서는 구조시스템을 고려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니라면 구조시스템과 코어형식이 같은 말이 아니라서  사무소에서도 기둥간격 산정시 구조시스템을 고려하나요?

     

     

    7. 사무소 2중 지역 배치글 동서로 노출된 방향(장축을 남북?) 으로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8. 19년도 책 181p 95번에 답이 뭔가요

     

    9.19년도 책 196p 196번 해설 영업실은 인당 4-5m^2 아닌가요

  • 이병억 |(2020.05.11 10:00)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중복도형의 축을 동서로 하는 경우 북향에 면하는 단위세대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일조에 불리해 집니다.

    (2) 복도를 두게 되면 단위세대 내의 실로 사용하는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현관에서 거실로 직접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거실을 다른 실들과 공유해서 사용하게 되면 거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들도 독립성을 훼손하게 되므로 거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거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들도 각각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대응할 수 있으므로 융통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근린주구 중심에 학교를 배치하므로 학교까지의 보행거리는 400m 입니다.

    (5) 60~90cm는 하역작업을 위한 창고의 천장높이이고, 30~60cm는 창고의 최상층의 높이입니다.

    (6) 사무소에서 기둥간격 산정시 구조시스템을 고려합니다. 구조시스템과 코어형식은 서로 다른 용어입니다.

    (7) 2중 지역배치는 중복도형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중복도형의 축을 동서로 하는 경우 북향에 면하는 사무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일조에 불리해 집니다.

    (8) 코어 내의 공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복도입니다. 다만, 복도는 각 사무실을 연결하는 복도인 경우 코어 내에 속하는 공간이 아니지만, 코어 내에서 통로의 역할을 하는 복도는 코어 내에 속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지문상에 "통로로서의 복도"로 주어지면 코어 내에 속하는 공간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9) 영업실의 면적은 고객대기공간을 포함하여 계산하는 경우 10m2로 산정하고 고객대기공간을 제외하고 계산하는 경우 4~5m2로 계산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