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십니까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홍*호 등록일 2020.05.09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십니까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강의잘듣고있습니다.

    강의 듣는도중 질문이 생겨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1. fck 는 콘크리트 재료특성에서 가장 높은값을 말하며 기준압축강도이고, 극한변형률(0.003)일때 즉 파괴될때의 압축강도를 0.85*fck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Rc강의 8강에서 균열모멘트 강의때 fr(파괴계수)를 설명하실 때 0.63*lamda*sqrt(fck)라고 하셨는데 fr과 앞서 설명하신 파괴압축강도 0.85*fck와 어떤점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구할 때 Ec = 8500*(fck + delta(f))^1/3 을 알려주셨습니다. fcu = fck+delta(f) 라고 하셨고, fcu는 평균압축강도라고하셨습니다. 이때 궁금한점은 평균압축강도인데 왜 가장 높은 값인 기준압축강도(fck)에 변화량(delta(f))를 더해주는지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즉 평균은 최대치보다 작아야하는 것이 아닌지요.

    3. 휨균열의 제어 파트에서 내가 구한 s(주철근 간격)과 구조기준(휨균열)을 비교하여 산정한다고 하셨는데, 이때 골재에 의한 주철근 간격 구조기준을 만족한 상태라는 조건을 가지고 해야한다고 생각되는데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광호 |(2020.05.11 18:08)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콘크리트를 대표하는 성능은 압축강도입니다.

    인장강도, 휨강도, 전단강도, 부착강도 등등 수많은 강도들을 압축강도로 변환시킬때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얼만큼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fck입니다.

    휨강도는 파괴계수라고도 합니다. 부재가 외력을 받아서 파괴될 때까지 단면이 탄소성 응력분포를 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탄성공식으로 구한 최대응력도이며 0.63의 숫자는 나라마다 조금씩 기준값이 다른데 그 이유는 실험적인 지표들이기 때문입니다.

    (2) 탄성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평균압축강도 fcu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 1,450~2,500kg/m^3 인 경우에 재령28일의 평균값을 도입했다는 의미의 평균일 뿐입니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계산할 때 설계기준강도 fck보다는 실제강도에 근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실험적인 지표에 의해 fck에 변화량이 더해지는 형태로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3) 네,,,맞습니다.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순간격을 확보하면서, 휨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중심간격도 산정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