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내용은 이해가 되는데요.
간혹 계산하다가 헤깔려서 그런데
등분포 하중에서 보면 C-B 구간을 먼저보면
1> 구간 집중하중은 1kN/m * 6m = 6kN
2> 여기서, C와 B 각각의 지점의 반력은 3kN 인데, 이렇게 계산하면 왜 틀린답이 나오죠?
그리고, 갤버보만의 특징인지는 모르겠는데요.
강의에서 보면 갤버보의 경우, 힌지에서 끊어서 계산하자나요
예를들면, p.129 Q.43 의 경우를 보면
1> AB(B는 힌지임)구간에 작용하는 100kN에 대해 각각 50kN 반력이 생기고,
2> BC 구간을 켄틸레버로 힌지에 작용하는 힘의 반대로하여 계산하시는데요.
Q. 여기서 단순보에서 배운 P x a/L 라는 식으로 100kN과 등분포하중의 집중하중을 더해주는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가 뭐죠? AB구간에서 50kN은 넘어와도 되고, BC구간의 등분포하중이 A지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가 뭔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