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콘크리트 측압은 콘크리트 타설된 윗면으로부터 거리와 단위용적질량의 곱으로
계산하며 그래서 콘크리트비중이 크거나 시멘트량이 많은 부배합 일수록
단위용적질량이 커져 측압이 커집니다.
그리고 타설속도가 빠르면 충격이 커져 커지고 묽은콘크리트 일수록(응결경화
속도가 느려진다) 커지며 온도가 낮으면 커지는겁니다.
다만 공기량은 영향이 없는것으로 판단됩니다.
측압은 좀 복잡한 메카니즘으로 발생하므로 연관성은 가급적 피하고 단일 내용
으로 암기하세요.
2.고로 시멘트는 수화반응시 알카리성이 저하되므로 중성화가 빠릅니다.
중성화가 빠르면 알카리성이 중성으로 진행되어 철근이 부식되는것이 빠르다
는것이고 내구성이 줄어듭니다.(콘크리는 강알카리성이지만 외기에 접하면
공기중 탄산가스영향으로 알카리성을 잃어갑니다.)
3.블리딩은 재료비중차이에 따라 발생하며,콘크리트재료중 시멘트는3.15정도
골재들은2.65정도(보통골재에 한해),물은1.0으로 물이 비중이 작아
물이 상승하는현상을 말합니다.
고로 단위 시멘트량이 많아지면 물양이 작아지고,물시멘트비가 작아지므로
블리딩은 작아집니다.
두번째 분말도가 크면(많다) 시멘트입자가 미세하며 수화작용이 빠르고
조기강도는 크지만 동일한 시공성을 얻기 위한 경우 단위수량이 증가하는 단점은
있습니다.(단위수량이 증가하면 블리딩도 커집니다)
다만 시공문제는 문제의 성격상 너무 연관지어 풀면 애매한경우가 많으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만 알아두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