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먼저, 비열에 대한 여러 가지 관계는 다음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SI단위기준)
■ 비열
- 어떤 물질 1kg(g)을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 단위 : kJ/kg․K, J/g․K
- 종류
㉠ 정압비열(Cp) : 공기의 경우 압력을 일정하게 하고 가열한 경우의 비열
㉡ 정적비열(Cv) : 공기의 경우 체적을 일정하게 하고 가열한 경우의 비열
※ 공기의 정압비열(Cp) = 0.24kcal/kg․K×4.2kJ/kcal
= 1.008kJ/kg․K ≒ 1.01kJ/kg․K
※ 공기의 단위체적당 정압비열(Cp) = 공기의 정압비열(Cp)×공기의 밀도(ρ)
= 1.01kJ/kg․K×1.2kg/㎥ ≒ 1.21kJ/㎥․K
※ 공기의 정적비열(Cv) = 0.71kJ/kg․K
☞ 액체나 고체에서는 정압비열(Cp)과 정적비열(Cv)의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보통 ‘비열’이라 하고 쓰면 되고, 공기에서는 구분하여 공기의 정압비열(Cp)과 공기의 단위체적당 정압비열(Cp)로 구분합니다.
관련한 상세한 내용입니다. 우리 자격시험에서 상기 내용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습니다.
냉난방부하 계산시 적용되는 단위환산계수 0.34와 834 관련 내용 산업기사 534쪽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0.34 : 단위환산계수
= 공기의 비열×밀도×1,000(J/KJ)÷3,600(s/h)
= 1.01kJ/kg․K×1.2kg/m³×1,000(J/KJ)÷3,600(s/h)
= 0.336W․h/㎥․K
≒ 0.34W․h/㎥․K
그 값만 기억하시고 학습에 참고만 하세요.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