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cm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종합반 > 한규대
글쓴이 박*솔 등록일 2020.06.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십니까

    cm의 정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6년도 이전의 정의인 전문가집단의 건축주에 대한 통합관리기술 서비스로 외워버려서 다시 외우기가 좀 헷갈리는데요.

    본 강의에서 [건설사업관리란 건설산업기본법에서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타당성 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또는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라고 하셨는데 새로 바뀐 정의가 너무 길어서 줄이고 싶습니다.

    질문 1. CM의 정의를 묻는다면 [기획단계부터 사용단계까지이르는 전 건설과정의 통합관리수행]이 답이 될까요?

     

    질문 2. 총칙 핵심2 강의 영상에서 CM의 계약방식이 CM for fee, CM at risk 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의 문제풀이 강의에서 CM의 계약방식이 ACM OCM XCM GMPCM 4개가 있고 한번 나왔으니 알아두라고 하셨습니다.

    문제는 위 아래 둘다 CM의 계약방식이라고 하셔서 헷갈립니다.

    CM의 계약방식이 위의 6개가 전부 해당하는건지, 아니면 분류가 잘못된건지 정리가 되지 않습니다.

     

    질문 3. 사회간접자본 SOC 계약방식 관련하여 외우기 쉽도록 요약하였는데 정답처리가 될 수있는지 궁금합니다.

    BOO 민간이 짓고 일정기간 운영하고 소유권도 민간이 가지는 방식

    BOT 민간이 짓고 일정기간 운영하면서 투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 

    BTO 민간이 짓고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하고 약정기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

    BTL 민간이 짓고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하고 임대료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

    BLT 민간이 짓고 일정기간 임대료를 통한 투자금을 회수하고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

     

  • 한규대 |(2020.06.25 17:05)

    답변입니다:

    1)건설사업 관리는 건설사업의 집행과정(프로젝트 집행과정을 생각하셔서 답안을작성하세요,/이 경우는 3가지 문제에 다 대비하게 됩니다,CM의 정의,LCC코스트 작성할때,또한 프로젝트 집행절차를 작성하는문제,등 모두 적용가능/

    *CM의 정의:기획,설계,시공관리,유지관리등 프로젝트의 전과정에서 각단계의 건설사업 관리를 수행하는것./이정도로 쓰시지요.

    2)CM의 분류는 이론적으로는 업무수행 형태에 따라서 /cm for fee 방식(단순용역,댓가추구)과 cm at risk(시공책임형 건설사업 관리)로 나누는 것이구요,/ 계약유형에 따라서 ACM,OCM,GMPCM,XCM으로 구분하는 것이구요./그런데 이와같은 계약이 실무에서는 건축주와  CM의 합의에 따라서 복합적으로 적용이 되는 경우도 많아요,cm at risk 계약에서는 통상 최대보증한도 CM계약인 GMPCM계약을 주로 합니다./참고하세요.*결국,업무를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계약이 달라진다는 검니다.

    3)잘 정리를 하셨는데요,/민간이 짓고,이렇게 쓰지 마시구요,민간이 건설후라고 바꾸어 쓰시구요,/위에 쓰신것 전부다 마찬가지,/또한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이 아니라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무상이전,이라고 바꾸어 쓰세요, 

    *간략하게 정리를 하시되 핵심내용의 오류나 누락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