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문제조건에 보시면 적재가능한 중량과 적재가능한 부피에 대한 조건이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푸실 때 두가지 조건을 모두 고려해서 문제를 푸셔야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적재가능한 중량으로 계산한 값과 적재가능한 부피로 계산한 값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해설의 내용을 쉽게 설명 드리면, 목재 전체의 체적을 적재가능한 부피로 나누어서 계산한 값과 목재 전체의 중량을 적재가능한 중량으로 나누어서 계산한 값 중 큰 값을 답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2015년 2회 문제를 예로 들어 설명 드리면
(1) 부피 ÷ 부피 : 1,000 ÷ 8.3 = 120.48대
(2) 중량 ÷ 중량 : 600 ÷ 6 = 100대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적재가능한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운반해야 할 트럭대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정답은 121대로 산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2016년 2회 문제는 적재가능한 부피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트럭에 적재하는 무게가 7.6t이 되므로 적재가능한 중량 6t을 초과하게 되어 트럭에 적재할 수가 없어서 더 많은 트럭대수가 필요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셔서 두가지 값 중에 큰 값을 정답으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