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시공과년도해설에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이*호 등록일 2020.07.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6-474 10번 문제 필릿용접 설명하시면서 그린 그림에 유효목두께 표시에 오류가 있습니다.(책과 조금 다르게 그려져 있습니다.)

     

    6-475 14번 문제에서 책에는 정답이 강재앵커로 되있는데 스터드볼트와 강재앵커 둘 다 정답인지요?

     

    6-481 11번 문제에서

     

    Pre Tension은 공장에서 소규모부재를 생산할 때

    Post Tension은 공장에서 대규모부재를 생산할 때 라고 설명하셨는데

    Post Tension경우 현장에서 생산하는 경우도 있는지요?

    (규모가 너무 크면 운반상의 문제가 있을 듯 해서입니다.)

     

  • 한규대 |(2020.07.03 16:53)

    답변입니다:

    1)첫번째 필릿용접은 책의 그림대로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2)두번째 질문은 /스터드볼트/로 알아두시길 바랍니다,이 문제는 필기시험에서도 출제가 되었습니다,스터드 볼트로요..*제가 문제풀이 하면서는 스터드볼트로 설명을 드린것 같은데요..

    3)프리텐션은:공장,소규모 부재생산에 사용이 되구요,,포스트텐션은 현장의 대규모 부재에 사용이 되는 공법입니다,참고하시구요,/현장 대규모부재는 다 포스트텐션 공법입니다./

    *건축공사에서는 이렇게 대규모 부재를 현장생산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쿠요,토목의 교량등의 경우 한스팬의 구조물 전체를 현장타설하는 경우도 있는데요,바로 공장생산시 부재가 너무 크면 운반이 곤란하므로 현장에서 생산을 하는검니다./일반적으로 포스트텐션으로 제작된 보를 지지되는 교각에 여러개 설치를 하고 그 위에 상판을 조립해서 결합하고 다시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제작합니다,/강관구조가 사용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