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엘보 엑세스형 교실에 관한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계획 > 이병억
글쓴이 이*희 등록일 2020.07.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이병억 교수님.

    엘보 엑세스형과 클러스터형에서 이해가 확실히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질문이 좀 많습니다. 죄송합니다.)




    1. 제가 하늘색 별로 표시한 부분들이 교실인거 같은데 이게 일반교실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특별교실을 말하는 건가요?

    2.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복도가 맞지요?

    3. 빨간색으로 빗금친 부분은 정확히 어떤 공간인가요? 엘보 엑세스형의 장점 중에 "학년마다 놀이터 조성이 유리하다."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그럼 저 빨간색 빗금친 부분에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이야기인가요? 아니면 어디에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건가요? 이 부분은 아예 이해가 안되네요...

    4. 학습의 순수율이 높다는 장점도 있던데 이 부분도 이해가 잘 안됩니다. 어떤 특징을 갖고 있길래 그런건가요?

    5. 소음이 큰 이유는 단지 복도의 면적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6. "지관별로 개성있는 계획을 할 수 있다."라는 장점과 "실의 개성을 살리기가 어렵다."라는 단점도 보충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병억 |(2020.07.08 15:42)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제가 하늘색 별로 표시한 부분들이 교실인거 같은데 이게 일반교실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특별교실을 말하는 건가요?

    → 표시하신 부분이 교실이 맞습니다. 교실은 일반교실이 될 수도 있고 특별교실이 될 수도 있습니다.

    2.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복도가 맞지요?

    → 복도입니다.

    3. 빨간색으로 빗금친 부분은 정확히 어떤 공간인가요? 엘보 엑세스형의 장점 중에 "학년마다 놀이터 조성이 유리하다."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그럼 저 빨간색 빗금친 부분에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이야기인가요? 아니면 어디에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건가요? 이 부분은 아예 이해가 안되네요...

    → 빗금친 부분은 복도만 설치되는 경우 바닥판이 없는 허공입니다. 그러나 그 부분에 바닥을 두어 휴식공간을 배치하거나 교실 앞에 복도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면 복도가 학생들의 놀이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4. 학습의 순수율이 높다는 장점도 있던데 이 부분도 이해가 잘 안됩니다. 어떤 특징을 갖고 있길래 그런건가요?

    → 학습의 순수율이 높다는 말은 교실간의 방해가 적다는 의미입니다. 즉, 복도가 연속되어 있는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쉬는 시간에 학생들이 각 반 교실을 왕래하는데 장애요소가 없습니다. 그래서 자유롭게 남의 반에 출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앨보우형에서는 복도가 연속되지 않기 때문에 바로 옆반에 가기 위해서는 복도를 길게 돌아서 들어가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방해가 적다라고 표현합니다.

    5. 소음이 큰 이유는 단지 복도의 면적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복도의 면적이 크고 빗금친 부분이 상하부가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이 위아래로 잘 전달되는 특징때문에 소음이 큽니다.

    6. "지관별로 개성있는 계획을 할 수 있다."라는 장점과 "실의 개성을 살리기가 어렵다."라는 단점도 보충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앨보우형은 복도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공용부분에서 건물 전체를 연결하는 주복도와 주복도에서 각 반 교실로 들어가는 교실복도로 구분됩니다. 주복도에 연결된 건물 단위 즉, 지관별로 건물의 형태나 크기 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실은 그 크기나 형태에 변화를 주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교실의 크기가 커지면 교실로 연결되는 복도가 2개가 필요한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교실은 거의 비슷한 형태와 면적으로 구성되므로 각 교실의 개성을 살리기가 어렵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