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은 건조수축균열 뿐만이아니라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이 됩니다,건조수축 균열과 더블어서 온도균열이라는 균열이 있는데요,이 균열은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차이 때문에 발생이 되는검니다.온도철근도 이 온도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하는 철근입니다./따라서 균열예방을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후 콘크리트내의 혼합수의 급격한 증발을 방지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온도균열 예방을 위해서 내,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여주는 양생방법도 중요합니다.(실기책,실기시험에서 출제됨,)*콘크리트의 내,외부 온도차이가 25도씨이상 벌어지면 표면은 빨리 수축하고 온도가 높은 내부는 팽창하기 때문에 이 수축,팽창의 차이만큼 균열이 생기는데 이것을 온도균열이라고 합니다,때문에 수화열이 작은 시멘트를 써서 이 내,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여주는 조치도 필요한 검니다.
2)천연 재료던지, 인공의 재료던지 포졸란 반응(규산칼슘 수화물 생성반응)을 하는물질을 포졸란이라고 하는 것이구요,천연의 포졸란에 규조토,규산백토라는 것이 있구요,인공의 포졸란에 플라이애쉬(화산재 성분),고로슬래그가 있는검니다,이들은 모두 이산화규소가 주원료로 수화반응이 느리고,발열량도 작아지므로 이 재료들은 공통적으로 초기강도가 작고,수화열이 작아집니다.또한 알카리 골재반응도 줄어들지만 중성화는 빠릅니다.(저알카리 시멘트 성질) 이정도만 알아두시구요,그 이외에 질문하신 궁금증을 해결하려면 제가 하루종일 설명을 드려야 합니다,/따라서 시멘트의 성질,화학성분과 응결과의 관계,성분이 수화작용과 수화열에 미치는 영향,등의 연구논문을 읽어보셔야 의문이 대략적으로 풀리실 거예요.(이것도 완벽한 내용은 없음.)/*우리가 개략적으로 알아낸 결과치를 시공교과서(제책)에서 기술한 검니다,특히 시멘트의 성분과 내용은,수화에 관련된 부분은 아직도 풀지못한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참고하세요...
3)알카리 금소으로 우리가 부르는 시멘트의 성분은 수화작용 과정에서 생성이되는 수산화칼슘의 수소이온농도(PH:페하) 이외에 시멘트에 소량으로 함유되는/칼슘이외에 k,Mg,Na등이 있습니다,/이런 알카리 토류금속이라 불리우는 것들이 다양한 수화를 일으키는 골재중의 실리카(규소,규산)와 수분의 존재하에 팽창을 유발하는 실리카겔이라는 물질을 생성하는 반응을 알카리 골재반응으로 보시면 되겠구요,굉장히 다양한 반응식을 만듭니다.(역시 일일히 다 설명을 드리기는 곤란함.)/마찬가지로 교재이외에 좀더 전문적인 지식을 원하시면 다른교재를 소개해 드릴께요../플라이애쉬 이외에 아까 언급했던 양질의 포졸란,고로슬래그등도 알카리 골재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요,플라이애쉬가 가장 대표적이다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