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일단 먼저 결론적으로/ 구조에서의 답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용어설명 내용이므로 물론 그대로 적으셔도 당연히 답이 됩니다.
*그런데 저같은 경우는 시공기술사 강의도 20년이상 했거든요,그리고 이 문제는 기술사 단골손님 이구요,그래서 강의준비를 하기위해서 폭렬관련 여러논문을 읽어보고 결론적으로 제 강의노트에 정리된내용을 기준으로 제책에 답을 적어놓았는데요,솔직히 말씀을 드리면 콘크리트 시방서는 콘크리트 학회에서 정한 시방인데요,아까 언급한 여러논문의 연구결과에서는 콘크리트의 폭렬이 꼭 표면에서만 일어나지는 않아요,물론 이론적으로 화재가 발생이되면 표면에서부터 열영향을 받는것이 당연하지만 건물에는 노출된 콘크리트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비노출 콘크리트가더 많지요,마감재료가 붙어있으니까요,그래서 제책엔 여러가지의 폭렬현상에 대해서 기술을 해놓았습니다,(기술사책:현재는 비매품.)
2)여러가지 폭렬이론이 있지만 수증기압 이론이 가장 대표적인 이론이구요,점진적인 폭렬도 있지만 서서히 가열된 콘크리트가 열이 응축되어서 예고도 없이 팡하고 폭발적으로 터지는 경우도 있거든요,,참고하세요.../한마디로 콘크리트 폭렬이란 /화재를 당한 콘크리트가 수증기의 압력으로 폭파되듯이 터지는 것./이 폭렬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여러가지의 파괴양상이 존재를 하는 것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