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 P/A 는 중심축하중 P에 의한 순수압축응력입니다.
± P*e / Z 는 중심축하중 P가 편심거리 e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 휨응력이며, + P*e / Z 는 휨인장응력이고, - P*e / Z 는 휨압축응력입니다.
첫번째 그림은 편심이 없으므로 순수압축응력만 발생되는 상태입니다.
두번째 그림은 편심이 h/6 이내에 작용하는 경우로서 우측연단은 - P/A - P*e / Z 의 상태이고, 좌측연단은 - P/A + P*e / Z 인데 - P/A 가 + P*e / Z 보다 크게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세번째 그림은 편심이 h/6 에 작용하는 경우로서 우측연단은 - P/A - P*e / Z 의 상태이고, 좌측연단은 - P/A + P*e / Z 인데 - P/A 와 + P*e / Z 가 같게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네번째 그림은 편심이 h/6 를 초과해서 작용하는 경우로서 우측연단은 - P/A - P*e / Z 의 상태이고, 좌측연단은 - P/A + P*e / Z 인데 - P/A 가 + P*e / Z 보다 작게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2) - P/A 와 - P*e / Z 를 더하면 -의 압축응력이 발생합니다.
- P/A 와 + P*e / Z 를 더하면 -의 압축응력이 될 수도 있고, 0이 될 수도 있고, +의 인장응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압축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은 경계위치인 0이 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