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용어정리시 본인이 기억할수 있는것으로 하여야 하여 용어정리를 작성하였는데 답으로 가능한지 검토바랍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종합반 > 한규대
글쓴이 정*극 등록일 2020.07.1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용어정리시 내것으로 정리하여 암기하여야 하여 정리를 하였는데 설명이 부족하다면

    검토하여 정리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1. BTL : 민간주도하에 시설물을 완공후 발주처에 소유권을 양도하고 시설물의

                 임대료를 통하여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

    2. VE 기법 설명 : 산업생산 전반에 걸쳐서 최선의 비용으로서 필요한 기능을

                  달성하는 원가절감 기법

    3. Life Cycle Cost : 건축물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의 전과정에

                                 필요한 전생애 주기 비용을 말함

    4 예민비 : 점토에 있어서 함수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이기면 약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비

    5. 샌드드레인 공법 설명 : 지름 40-60cm의 구멍을 뚫고 모래를 넣은후 압밀하여

                                       탈수 하는 공법

    6. 콘크리트 헤드 설명 : 측압이 최대가 되는 콘크리이트의 타설높이

    7. 트레블링 폼 : 대형시스템화 거푸집으로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푸집

    8. 물시멘트 용어 설명 : 시멘트 풀속의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 백분율

    9. 블리딩 현상 :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풀에서 물이 윗면에 솟아 오르는 현상

    10. 레이턴스 : 블리딩수의 증발에 따라 콘크리이트면에 침적된 백색의 물질

    11. 조절줄눈 : 벽 바닥판의 수축에 따라 표면 균열 방지를 위하여 솔ㅊ헌 표면균열

                         유도 줄눈

    12. 콜드 조인트 : 콘크리이트 시공시 휴식시간으로 콘크리이트가 응결하기 시작

                             할때 이어치기한 콘크리이트와 일체화가 되지 않고 발생한 줄눈

    13. 신축줄눈 :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수축등에 균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단면을

                         분리시키는 적당한 위치 및 길이에 설치한 줄눈

    14. 지연줄눈 : 100m를 초과하는 장 Span 구조물에서 Expansion joint를 설치하지

                         않고 건조수축을 감소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임시줄눈

    15. 표면처리법 : 0.2mm 이하의 미세균열에 폴리머시멘트나 Mortar로 보수하는 방법

    16. 주입공법 : 주입구멍 천공후 주입파이프를 설치한후 에폭시수지를 밀봉재로

                         주입하는 공법

    17. 매스콘크리이트의 정의 : 콘크리이트 다면 80cm 이상 하부가 구속된 50cm 이상

                          벽체등으로 콘크리이트의 내,외부의 온도차가 25C 이상인 콘크리이트

    18. 필립용접 : 두부재의 교차선을 따라서 삼각형 모양으로 용접살을 덧붙여 용접

    19. 철골의 내화피복법의 종류는 습식공법, 건식공법, 합성공법의 설명이 있는 반면에

                         타설공법, 조적공법, 미장공법, 뿜칠공법으로도 설명되어 있는데

                          어떤 답을 써야 하는지요

    20. Mill sheet : 공인된 시험기관에 의한 제조업체의 철강제품 품질보증서이다

    21. 쉬어 커넥터 : 합성부재의 두가지 다른 재료사이의 전단력을 전달하도록 강재에

                             용접되고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연결재료

    22. 스캘럽 : 용접선의 교차로 인한 열 영향을 피하기 위해 한쪽의 부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홈

    23. 메탈터치 : 철골 부위의 부재간을 정밀가공하여 밀칙시키는것

    24. 데크플레이트 : 구조용 강관을 절곡해서 만든 하부바닥판 거푸집용의 골철판

    25. 가셋플레이트 : 철골구조의 기둥과 보, 트러스 절점부위등에 사용되는 연결용 강판

    26. 됫댐재 (Back strip) : 맞댄 용접시 루트간격하부에 대어주는 받침쇠

    27. 영식쌓기 : 가장 튼튼한 내력벅 쌓기로 한켜는 길이 한켜는 마구리 쌓기이며

                         벽 모서리 끝 벽 마구리에 반절이나 이오토막을 사용한다

          * 영식쌓기에 0.5B 쌓기가 가능한지요 한켜는 길이 한켜는 마구리 쌓기를

              그림으로 설명이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유튜브를 찾아 보아도 설명이 잘된것이

              없고 이해가 힘듭니다.

     

  • 한규대 |(2020.07.18 17:54)

    답변입니다:*일단 점검의 필요가 있는 경우만 답변을 드릴께요,,

    1) 2번째의 VE은 /~~최소의(최선이 아니라)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달성하는 대안창출을 통한 원가절감 기법,/이 *대안창출을 통한 원가절감 기법/이 VE의 핵심입니다,꼭 쓰세요.

    2)6번의 콘크리트 헤드는 찐짜 많이 틀리시는데요,/측압이 최대가되는 콘크리트의타설높이./ 라고 하면 콘크리트를 밑에서 부터 타설하니까 밑에서 부터 최대 측압까지의 거리라는 말이 되는데요,그 반대예요./콘크리트가 타설된 윗면에서 부터 최대측압면 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검니다,*위에서 부터 측정하는 검니다,그리고 높이가 아니라 거리에요..확실히 알아두세요,,,

    3)8번째 의 물시멘트비 설명은 앞부분에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라는 말을 꼭 붙이세요,,공장에서 아무리 철저하게 관리를 했다 하더라도 중간에 물을섞는(가수하는)사례가 있으므로 현장에서 타설된 직후의 물시멘트비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4)13번의 신축줄눈:/온도에의한 신축팽창,부동침하등의 균열을 한곳에 집중시키기위해 설치하는 응력 해제줄눈./이렇게 하세요..

    5)질문하신 19번은 둘다 가능합니다,편한대로 설명하셔도 됩니다.

    6)21번은 앞부분/합성구조에서 양자간 발생되는 전단력을 보강하도록~~~~/*합성구조라는 말 자체가 두가지 재료를 합성했다는 의미입니다.*전단력 보강철물이 쉬어커넥터 입니다,전단력을 전달하는 철물이 아니라요.

    7)23번/철골부재의 접합부를 정밀가공해서 밀착시키는 것으로 축력의 50%까지를 접합면에서 전달함./이정도로 쓰시지요.

    8)질문하신 부분은 필기책에 정확한 그림이 나와있습니다.한솔 필기 기사시리즈 건축시공책.P341의 학습포인트에 영식,화란식,불식 쌓기그림에 왜? 이오토막이 들어가는지,칠오토막이 드러가는지가 잘 나와있습니다.참고하세요..

    *나머지 부분은 지금 작성하신대로 쓰시면 되겠습니다,질문을 너무 한번에 많이 하셨는데요,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