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2017) > 안광호
글쓴이 권*준 등록일 2017.09.15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8장 부정정 구조물에서만 고정단모멘트가 나오는건가요? 그렇다면 왜 정정구조물에서는 그렇지 않나요?

    2. p334 문제 18번에서 왜 C에서 PL/8 과 WL^2/12가 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313p를 보면 이동지점에서는 모멘트값이 고정단과 다르게 나와있습니다.

    3. 그리고 이동지점은 M가 없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맞나요?

  • 안광호 |(2017.09.20 12:43)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수평의 부정정구조물에서 부재 중간에 수직하중이나 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양단을 휘게 만드는 고정단모멘트가 발생합니다. 정정구조물에서는 고정단모멘트라는 개념은 없습니다.

    (2) 18번 문제의 그림과 같은 4차부정정구조에서 C지점은 AC와 CB를 연결하는 절점이기도 합니다. AC의 구간에서 집중하중이 작용하므로 C절점에 시계회전의 고정단모멘트를, CB의 구간에서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므로 C절점에 반시계회전의 고정단모멘트를 계산하면 C절점의 회전력이 계산됩니다.

    이러한 회전력을 저지시키기 위한 해제모멘트는 계산된 회전력의 부호만 바꾸면 됩니다.

    313페이지의 모든 이동지점에서의 휨모멘트는 0입니다.

    왜냐하면, 이동지점으로의 좌측에 하중이나 구조물의 연속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3) 이동지점에서 휨모멘트가 생길 때는 312페이지의 우측에 [간단한 적용 예제(3)]의 그림처럼 연속보의 경우 중앙의 이동지점C에서는 휨모멘트가 필연적으로 발생됩니다.

    그 이유는 위의 (2)의 설명에서와 비슷하게, 이동지점으로의 좌우측으로 하중이나 구조물의 연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