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제가 아무리 정확히 개념을 설명드리고 분류를 정확히 해드려도 우리 문제출제를 하시는 건축과 교수님들께서 그 개념을 확실히 지키면서 출제를 안 해주시기 때문에 혼돈이 생기는 것이구요,,*근본적인 원인은 거기에 있습니다./
*어떤분은 지반조사 방법의 전체와 지내력시험까지 토질조사로 보고 시험에서 출제하는 경우도 있어서요,,이부분을정확히 교통정리를 해드리가 어렵네요,,토목쪽에서는 정확히 개념대로 출제를 하거든요,,
1)p98의 24번은 베인테스트를 현장 토질시험으로 적당한 것에서 질문을 했지요,,/우선 베인테스트는 연약점토의 전단력(점착력)을 측정하는 원위치시험(현장시험)으로 확실히 알아 두시구요,,,
2)토목시방서에서의 /토질시험이란 시험실에서 실시하는 전단,일축 압축,삼축압축,함수율 시험,소성한계,액성한계,수축한계 시험이나 물리적, 역학적인 성질을 판별하는 시험으로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참고하세요.../*다만 건축쪽에서는 이러한 정의가 정확히 지켜지지 않코 여러형태로 출제가 되는것이 현실이므로 문제별로 정리를 해두셔야 됩니다..안타깝지만 제가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