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1.04.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지반의 단기허용지내력도

    구조랑 법규기준은 장기허용 지내력도의 '1.5배'인데

    시공은 '2배'라서 어느 기준에 맞춰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2. 구조제한 중에서

    보 주근은 왜 최대값으로 산정하고

    띠철근이나  T형보&반T형보는 최소값으로 산정하나요 ? 

     

    이 부분이 항상 헷갈려서 언제 최소를 선정하는지, 최대를 선정하는 지 헷갈립니다..

    추가로 람다 = KL/r 이 부분도요 ..!

     

    3. 과다철근보에서 균형철근보 만들기 위한 방법중

     

    철근의 강도를 높이면 매우 위험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광호 |(2021.04.02 14:57)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최저 안전율이 1.5의 의미입니다. 이것을 2로 하든 3으로 하든 100으로 하든 1.5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안전율의 증가에 따른 비용의 증가는 건축주 내지는 국가의 세금의 몫이 될 것입니다.

    (2) 보 주철근의 순간격기준은 피복되는 부분에 굵은골재(=자갈)이 잘 빠져나가기 위해 복수의 안전장치 중에서 큰값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T형보의 유효폭을 슬래브의 일부까지 보의 거동을 하고 있다라는 개념으로 본다면 복수의 안전장치 중에서 작은값을 채택하는 것이 안전측이 될 것입니다.

    최소, 최대가 궁금하다면 해당 용어의 본질을 좀더 고민해보시다 보면 의미를 알아차리는 순간이 올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3) 과다철근보는 균형철근보를 기점으로 말그대로 지나치게 많이 철근이 배근된 상태이거나 같은 갯수가 배근된 경우라면 고강도의 철근이 배근된 상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