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콘크리트 재료 부분 보충설명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실기 The Bible(POINT 이론) > 백종엽
글쓴이 장*호 등록일 2021.04.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콘크리트 재료 부분에서는 거의 읽어만 주시고 계시기에 문의드립니다

     

    시멘트비중 W는 중량이고 V는 체적인가요?

    골재 공극률에서 0.999를 곱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골재일반사항에 기출문제 2번 (5)가 정답에는 표면수량인데 함수량이라고 설명?

    조립률(FM) 잔골재율(S/a)의 영어 약자?

    부연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백종엽 |(2021.04.14 16:06)

    콘크리트 재료설명 너무 간단하게 설명을 하였고 설명도 미흡하네요~

    (촬영일정을 잡아서 늦어도 다음주안에 재촬영을 하겠습니다)

    1. W=weight(중량), Volume(체적)

    ...................................................

    시멘트비중G을 구하기 위해서 

    실험에 사용한 시멘트량(g) Weight을

    비중병에 광유를 넣은후 체적(비중병의 눈금)  - 시멘트 넣기 전 광유를 넣고 최초의 비중병의 눈금 (체적)의 값으로 나눈 값입니다.

    2. 골재 공극률에서 0.999를 곱하는 이유는~

     

    골재의 공극률에서 0.999는 골재의 고체부분을 제외한 물과 가스와 같은 공극을  백분률로 나타낸 것입니다.

    골재의 비중을 G,  골재의 단위체적당의 무게를 W 라고 한다면 G-W / G 로 나타낼수 있겠습니다.

    모든 재료는  물과의 비중으로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G와 G*1은 거의 같다고 볼수있겠습니다.

    *1은 수치변화에 큰 의미가 없습니다. 

    1이라는 값은 물의 비중이 1인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의 물은 약 4도의 온도에서 0.99997의 최대밀도값을 갖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재료시험분야에서는 골재의 비중 G에 0.999를 붙여서 골재의 공극률이나 실적률을 계산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3. Fitiness Modulus of Aggregate

        조립률은 골재의 입도를 판단하기위해  체가름시험 결과를 적용합니다.

    굵은골재를 (자갈) Aggregate, 잔골재를 (모래)Sand라고 합니다.

    4. 습윤상태에서~표면수량을 4번문제 2번내용으로 잘못설명 및 기재하였습니다. ㅠ

    이해가 되기 힘든 재료 품질부분 촬영시간 및 설명이 미흡한부분 죄송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