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절기 콘크리트 시공시 발생하는 문제점
-단위수량증가, 슬럼프 손실, 시공연도 저하
이 세가지도 가능할까요??
(공기량저하, 콜드조인트 발생)
2. 단열간봉: 이중유리와 로이유리 사이에 끼는 플라스틱 간격재로
내부에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삽입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재료
이게 제일 잘외워져서 이렇게 정리했는데 문제없을까요??
네~
3. 철골조 내화피복 시공공법
건식공법: 각종 성형판을 부착하는 내화피복공법
합성공법: 두종류의 내화피복재를 조합시켜 사용하는 공법
도장공법: 팽창성 내화도료를 사용하는 내화피복공법
> 가능합니다.
4. CM계약의 장점과 단점
장점: 설계자, 시공자간 의사소통 개선. 공기단축 가능. 원가절감가능. 공법과 기술의 다양화
단점: 공사비 증가우려. 프로젝트 성패가 CMr의 능력에 좌우. 발주자의 신속한 의사결정 중요.
장점에 원가절감, 단점에 공사비 증가우려를 같이 쓰면 이상한가요??
괜찮은 장단점을 모르겠습니다ㅠㅠ
> 혼용을 안하는게 좋습니다 . 만약한다면~~~
전문인력의 관리기술로 원가절감 가능(장점), 발주 시 전문인력 투입에 의한 공사비 우려( 단점)
대리인형의 경우 공사품질 책임발생 시 책임소재 불명확(단점)
5. 알칼리 골재반응 방지대책
-수분흡수방지, 염분침투방지 이거 두개도 괜찮나요??
알칼리 골재에 무반응성 골재 사용~~~~
> 가능합니다.
6. 브레인스토밍의 4대원칙
-비판금지, 자유로운 분위기, 질보다는 양, 결합과 개선
> 가능
7. JIT(Just In Time)의 정의
- 즉시 생산 시스템으로 필요한 양만큼만 생산하여 조달하는 시스템
((((( 적시생산~~~)))
8. SGS공법=SSG공법 인가요??
>> Structural Silicone Glazing
실리콘 실런트를 사용하여 유리 판넬을 금속구조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빌딩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건축가들이 보다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 공법입니다.
9. 조절줄눈: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일정한 곳에서만 생기도록 유도하는 줄눈
>> 가능
10.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트럭에 재료 다 실어서 트럭에서 콘크리트 비비는것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어느정도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에 실어 운반도중 완전히 비비는것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다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에 실어 현장으로 운반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 가능
11. BOO방식
1)민간의 자본으로 공공시설물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발주자에게 이전하는 방식
2)민간의 자본으로 공공시설물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민간에 이전되는 방식
소유권이 발주자(정부)가 아니라 민간에게 넘어가는게 BOO인가요??
>>> BOO만 민간으로 소유권이 넘어갑니다.
12.철근콘크리트 슬럼프 값의 표준은 일반적인 경우 80~180mm이며, 단면이 큰 경우는 60~150mm이다.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4~6%정도이다
13. 시멘트 저장시 주의사항
마루 높이는 지면에서 30cm이상으로 하여 방습에 유의
여기서 마루가 정확히 어떤건가요?
바닥에 마루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쌓는건가요?
>>>> 통풍이 가능한 나무깔판을 말합니다.
14. 영식쌓기 정의에서 한켜는 길이 쌓기 다음 켜는 마구리 쌓기
한켜는 마구리 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
길이쌓기와 마구리 쌓기의 순서는 상관없나요?
>>>상관없습니다.
15. earth pressure meter: 흙막이에 작용하는 토압측정/ 주변 지반의 토압변화 측정. 뭐가 나을까요?
dispenser: ae제 계량하는장치/ ae제 계량하는 분배기. 뭐가 나을까요??
16. 공간쌓기 목적: 방수,단열,결로방지 외에 한가지 더 어떤걸 외우면 좋을까요?
> 방습, 소음저감
17. 언더피닝: 기존 건물 가까이에 신축공사를 할 때 기존 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1. 하절기 콘크리트 시공시 발생하는 문제점
-단위수량증가, 슬럼프 손실, 시공연도 저하
이 세가지도 가능할까요??
(공기량저하, 콜드조인트 발생)
2. 단열간봉: 이중유리와 로이유리 사이에 끼는 플라스틱 간격재로
내부에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삽입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재료
이게 제일 잘외워져서 이렇게 정리했는데 문제없을까요??
네~
3. 철골조 내화피복 시공공법
건식공법: 각종 성형판을 부착하는 내화피복공법
합성공법: 두종류의 내화피복재를 조합시켜 사용하는 공법
도장공법: 팽창성 내화도료를 사용하는 내화피복공법
> 가능합니다.
4. CM계약의 장점과 단점
장점: 설계자, 시공자간 의사소통 개선. 공기단축 가능. 원가절감가능. 공법과 기술의 다양화
단점: 공사비 증가우려. 프로젝트 성패가 CMr의 능력에 좌우. 발주자의 신속한 의사결정 중요.
장점에 원가절감, 단점에 공사비 증가우려를 같이 쓰면 이상한가요??
괜찮은 장단점을 모르겠습니다ㅠㅠ
> 혼용을 안하는게 좋습니다 . 만약한다면~~~
전문인력의 관리기술로 원가절감 가능(장점), 발주 시 전문인력 투입에 의한 공사비 우려( 단점)
대리인형의 경우 공사품질 책임발생 시 책임소재 불명확(단점)
5. 알칼리 골재반응 방지대책
-수분흡수방지, 염분침투방지 이거 두개도 괜찮나요??
알칼리 골재에 무반응성 골재 사용~~~~
> 가능합니다.
6. 브레인스토밍의 4대원칙
-비판금지, 자유로운 분위기, 질보다는 양, 결합과 개선
> 가능
7. JIT(Just In Time)의 정의
- 즉시 생산 시스템으로 필요한 양만큼만 생산하여 조달하는 시스템
((((( 적시생산~~~)))
8. SGS공법=SSG공법 인가요??
>> Structural Silicone Glazing
실리콘 실런트를 사용하여 유리 판넬을 금속구조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빌딩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건축가들이 보다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 공법입니다.
9. 조절줄눈: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일정한 곳에서만 생기도록 유도하는 줄눈
>> 가능
10.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트럭에 재료 다 실어서 트럭에서 콘크리트 비비는것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어느정도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에 실어 운반도중 완전히 비비는것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다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에 실어 현장으로 운반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 가능
11. BOO방식
1)민간의 자본으로 공공시설물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발주자에게 이전하는 방식
2)민간의 자본으로 공공시설물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민간에 이전되는 방식
소유권이 발주자(정부)가 아니라 민간에게 넘어가는게 BOO인가요??
>>> BOO만 민간으로 소유권이 넘어갑니다.
12.철근콘크리트 슬럼프 값의 표준은 일반적인 경우 80~180mm이며, 단면이 큰 경우는 60~150mm이다.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4~6%정도이다
13. 시멘트 저장시 주의사항
마루 높이는 지면에서 30cm이상으로 하여 방습에 유의
여기서 마루가 정확히 어떤건가요?
바닥에 마루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쌓는건가요?
>>>> 통풍이 가능한 나무깔판을 말합니다.
14. 영식쌓기 정의에서 한켜는 길이 쌓기 다음 켜는 마구리 쌓기
한켜는 마구리 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
길이쌓기와 마구리 쌓기의 순서는 상관없나요?
>>>상관없습니다.
15. earth pressure meter: 흙막이에 작용하는 토압측정/ 주변 지반의 토압변화 측정. 뭐가 나을까요?
dispenser: ae제 계량하는장치/ ae제 계량하는 분배기. 뭐가 나을까요??
16. 공간쌓기 목적: 방수,단열,결로방지 외에 한가지 더 어떤걸 외우면 좋을까요?
> 방습, 소음저감
17. 언더피닝: 기존 건물 가까이에 신축공사를 할 때 기존 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 기존건축물 하부에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기존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18. 시멘트 분말도시험: 체가름시험,브레인법,피크노메타법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