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박*도 등록일 2021.04.15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p213 슬럼프의 표준값

    강의에서는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80~180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80~150 으로 되어있다고 하셨는데

     

    우연히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ksc 14 20 10 :2021 일반콘크리트 부분도

    80~150으로 되어있는 것을 봤습니다.

    아직 수정이 안된것인가요 ?

     

    2.

    단면이 큰 경우 슬럼프 값을 더 작게 제한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같은 맥락인데, 매스 콘크리트에서 슬럼프 값이 작아야 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 한규대 |(2021.04.17 02:20)

    답변입니다:

    1)슬럼프치를 제한하는 경우는 150mm이하라고 되어 있는데요,,개별적인 콘크리트종류에서는 대부분 건축에서 적용되는 콘크리트가 180mm이하로 한다고 개별 콘크리트 조랑 항목에 기술이 되어 있습니다,,그래서 180mm으로 기재가 된 검니다,,

    2)교과서에서 슬럼프치를 규제한 그 밑에 작은 글씨로 되어있는 내용을 읽어보시면 슬럼프치를 결정할때 여러가지를 감안해서 되도록 작은 값으로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물시멘트비,슬럼프값,시멘트량,물량,모두 되도록 작게 하라고 되어 있어요,,/단면이 크다는 것은 한번에 많은 콘크리트가 타설이 된다는 의미이구요,,*실제로 슬럼프치가 작은 콘크리트와 큰 콘크리트를 비교해보면 큰 콘크리트가 값이더 비쌉니다,,그 이유는 강도는 동일하게 유지했을 때 슬럼프값을 크게 하려면 여러가지 재료가 더 들어가구요,,잔골재율이 커져서 시멘트,물,등이 모두 많이 들어감니다,,,그러니 비경제적이 되는 것이구요,,비용면에서도 그렇쿠요,,또한 시멘트와 물이 많이 들어가니까 장기적인 거동도(크리프,건조수축등)불리해지고 수화열에 따른 수축도 커지지요,,/따라서 매스,차폐용,고강도,수밀 이런것들은 150mm이하나 타설이 용이한 경우는 120mm이하로 하라고 되어있습니다..매스와 고강도는 수화열에 의한 크랙예방 차원이구요,,장기적인 거동도 슬럼프가 작을 수록 유리합니다..참고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