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계획 > 이병억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1.04.2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1. 

    아파트 단위주거에 장기적으로 융통성 높이는 방법이 라멘구조라는ㄷ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근데 왜 우리나라에선 대부분 아파트는 벽식구조로 하는 건가요? 

     

     질문2.

    P,111 290번 (작년 책이라 패이지수가 맞는 진 모르겠네요)

    보기 4번 중, 아동공원은 근린분구 설치, 각 호의 500m의 정도 또는 초등학교에 병설.

    이게 왜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3.

    초고층 사무소건물 저층계획

    -사무소로서의 품위를 해치는 행위를 재한한다.

    위 선지가 왜 틀린지 모르겠습니다. 

     

    질문4.

    초고층 기등간격 직접요인

    -코어의 형식은 틀렸다고 하는데, 코어에 따라 기둥간격이 달라질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질문5 p,181 97
    코어와 방재설바 관계중, 스모그타워 설명이 무슨 의도로 설명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비상계단내 전실에 설치하니깐 아니란 뜻인가요? 근데, 비상계단도 코어에 속하는 거 아닌가요?

     

    질문6. P,203 241

    동선계획시 수직동선의 고려는 왜 유의사항인가요?

    당연히 수평동선인 줄 알았는데, 수직을 고려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이병억 |(2021.04.21 11:04)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벽식구조인 경우 모든 벽체가 내력벽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벽체를 철거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라멘구조는 기둥이 모든 힘을 받기 때문에 벽체를 비내력벽으로 구성할 수 있어 융통성이 높아집니다. 우리나라에서 벽식구조를 사용하는 이유는 층고를 낮출 수 있고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2) 아동공원은 근린분구에 설치하는 중심시설입니다.

    (3) 제가 못보던 표현입니다. 어떤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설명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코어형식과 기둥간격은 관계가 없으며, 코어에는 기둥대신 내력벽으로 구축하여 전단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기둥간격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5) 질문하신 문제는 방재설비를 묻는 문제입니다. 스모크타워는 배연설비로서 특별피난계단이나 비상용승강기에 배치되는 방재설비입니다.

    (6) 동선계획에는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이 모두 포함됩니다. 위아래층으로 움직이는 동선도 고려해야 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