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1.05.07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1

    P, 176 화재시 골재 시멘트 반응 부분 질문입니다.

    보기4번, 650도 이상 팽창, 900도 완전파괴.

    이것은 무엇을 칭하는 건가요? 골재는 계속 팽창한다고 써있고, 시멘트는 210도까지라는데 무엇을 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2

    p, 186 페코비임 그림을 보면 2.9~4.6 / 4.7 ~6.4m로 

    최대 6.4m까지 신축이 가능하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최소 2.9m 이상 최대 6.4m까지 가능하다로 이해해도 되는 건가요? 

     

    질문3

    p,240 문제 9번 

    보기 4번은 아무 상관없는 건가요??

     

     질문4

    제치장 콘크리트에서 마감공사비가 절약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타설비용은 거푸집이나 각삽으로 퍼야해서 타설인원 증가?로 이해했는데 

    마감공사비를 절약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해가 잘 안됩니다 !

     

    감사합니다.

  • 한규대 |(2021.05.10 03:13)

    답변입니다;

    1)골재는 화재시 열을 받으면 계속해서 팽창이 된다는 것이구요,,/시멘트는 210도 까지는 서서히 팽창을 하다가 650까지는 오히려 수축이 일어난다는 검니다,,/그리고 다시 650도 이상에서 팽창하다가 900도 이상에서 파괴 된다는 검니다,,그래서 콘크리트가 균열이 생기고 파괴가 되는 검니다,,이러한 팽창의 거동이 서로 달라서요..

    2)예)그렇게 이해하셔도 됩니다../길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3)결과는 균열로 인하여 누수가 생기고 피복이 파괴되어서 결국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귀결이되지만, 원인이 알카리,실리카,물이기 때문에 4번하고는 관련이없는 겁니다..

    4)이렇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제물치장은 콘크리트면 자체가 마감면이고 여기에 별도로 마장이나 타일,도장등의 마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구요,,다만 제물치장을 할때 거푸집면이 품질을 많이 결정하므로 거푸집 설치비용은 더 들어가지만 마감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더 경제적일 수 있다는 검니다../또한 마감재료의 다양함을 추구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콘크리트면 마감으로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