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1) 8t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운반토량에 1.25를 곱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자연상태 흙 12,000m3을 되메우기 5,000m3하고, 흙에 중량은 1,800kg/m3이고, 토량환산계수 L=1.25 여기서 L=1.25는 잔토처리시 고려하는 조건이며, 8t트럭에 적재할수 있는 토량에 고려하라는 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토량환산계수는 상기의 문제를 포함하여 모든 문제에서 L값이 주어지면 잔토처리시 고려하라는 조건으로 이해하시고, C값이 주어지면 되메우기시 고려하라는 조건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상기의 문제는 L값만 주어졌기 때문에 잔토처리시만 고려하면 됩니다.
따라서 8톤트럭 1회 적재량 = 8톤/1.8톤m3=4.44m3(자연상태)
흐트러진 상태를 고려하시면 안되고, 상기의 설명처럼 L값은 잔토처리시 고려하라는 조건입니다.
4.444m3x1.8t=8t 트럭에 적재가능하나, 4.444m3*1.25=5.56m3x1.8t=10t으로 8t트럭에 적재할수 없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으며 8t트럭에 적재할수 있는 토량은 자연상태에서 고려하고 다시말씀드리면 L값은 잔토처리시만 고려하라는 조건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8t 트럭에 적재할수 있는 토량(4.444)을 8t 트럭대수 산정시 이용하는 중간과정 수치이므로 소수3위까지를 그대로하여 4.444를 적용하여 교재에서 처럼 산출하시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소수처리 <중간과정>에 적용 할때 소수이하 처리에 있어서는 많게 보는 경우와 적게 보는 경우로 모두 오차범위 내로 볼수 있으나, 시험에서 일관성 있게 정리 하시려면 <소수3위까지를 그대로> 적용하고 <최종답>에서는 소수3위에서 반올림하여 소수2위까지를 기재하시면 되겠습니다.
위의 문제에서는 중량으로 구한 것과 부피로 구한 값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다른 유사한 문제에서는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두가지 방법 중 큰 값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그러나 위의 문제는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수점 3자리에서 계산을 해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시험에서는 모든 소수점 처리는 반올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