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역학 인강에서
p 50에 예제6번의 경우 , 단순보 구간과 켄틸레버 구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8kn 의 반력이 생기는 켄텔레버 구간에서는 수직 반력만 생기고 수평 반력은 생기지 않는데, 3kn 이라는 힘을 오른쪽으로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 4kn이라는 수직반력으로
인강에 표시되었습니다. 다시 단순보로 보았을때, 오른쪽으로 표시되었던 3kn의 힘을 상쇄시키기 위해 3kn 힘을 왼쪽으로 표시되었고 A지점에서는 그것을 다시 오른쪽으로 받는 3k이 표시되었습니다.
8kn 의 반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오른쪽으로 가는 수평반력 3Kn이 아예 생길수 없는 구간이 아닌가요 ?? 8kn 의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3kn을 상쇄시키기 위해 왼쪽의 3kn이 표시되는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상쇄의 의미가 제가 말한 수평반력이 생길수 없음을 의미하는건가요 ? 다른의미가 있나요
4kn의 수직반력과 3kn의 수평반력이 생기는 상황에서 3kn의 수평반력을 받을수 없기 때문에 단순보에서 3kn의 오른쪽 반력이 생기는 것으로 간단히 생각하면 될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