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기초역학 인강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 단기완성 종합반(6개월) > 안광호
글쓴이 변*수 등록일 2021.06.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기초역학 인강에서 

    p 50에 예제6번의 경우 , 단순보 구간과 켄틸레버 구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8kn 의 반력이 생기는 켄텔레버 구간에서는 수직 반력만 생기고 수평 반력은 생기지 않는데, 3kn 이라는 힘을 오른쪽으로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 4kn이라는 수직반력으로 

    인강에 표시되었습니다. 다시 단순보로 보았을때, 오른쪽으로 표시되었던 3kn의 힘을 상쇄시키기 위해 3kn 힘을 왼쪽으로 표시되었고 A지점에서는 그것을 다시 오른쪽으로 받는 3k이 표시되었습니다.

    8kn 의 반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오른쪽으로 가는 수평반력 3Kn이 아예 생길수 없는 구간이 아닌가요 ?? 8kn 의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3kn을 상쇄시키기 위해 왼쪽의 3kn이 표시되는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상쇄의 의미가 제가 말한 수평반력이 생길수 없음을 의미하는건가요 ? 다른의미가 있나요

     

    4kn의 수직반력과 3kn의 수평반력이 생기는 상황에서 3kn의 수평반력을 받을수 없기 때문에 단순보에서 3kn의 오른쪽 반력이 생기는 것으로 간단히 생각하면 될까요 ?

  • 안광호 |(2021.06.25 16:31)

    안녕하세요,,,

    질문하시는 의미를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ㅠㅠ

    결국, 마지막의 내용 [4kn의 수직반력과 3kn의 수평반력이 생기는 상황에서 3kn의 수평반력을 받을수 없기 때문에 단순보에서 3kn의 오른쪽 반력이 생기는 것으로 간단히 생각하면 될까요 ?] 에 대해서 답변을 드려보면,,,

     

     [4kN의 수직하중과 3kN의 수평하중이 생기는 상황에서 3kN의 수평반력을 이동지점에서 받아낼 수 없으므로 회전지점 A에서 받아내는 것이고, 캔틸레구조와 단순보구조라는 이질적인 시스템이 결합된 상태에서 4kN의 수직하중과 2kN/m의 수직하중이 조합된 상태에서 A지점은 수직반력의 영향이 없고 오직 B지점만 수직반력 8kN이 발생되는 상황입니다 ] 라고 답변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내민보 구조는 단순보와 캔틸레버이 조합이지만 중첩의 원리로 이해하려기 보다는 평형조건식으로 지점반력을 해결하는 것이 훨씬 수월함을 조언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