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시공 p 199쪽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변*수 등록일 2021.07.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골재크기가 0.15mm~0.3 mm 일 때 공극이 커서 공기량은 많아지고

    0.15 mm 미만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작아진다 하셨는데 

    0.15 mm 미만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왜 더 작아지나요 ??

    0.15mm가 입자가 더작아서 실적률은 감소하고 공극은 증가하기 때문에

    공기량은 증가하는거 아닌가요?

  • 한규대 |(2021.07.01 23:06)

    답변입니다:

    1)잔골재의 크기가 0.3mm~1.0mm정도의 크기 일때가 가장 공기량이 증가합니다,,,/*AE제 공기기포의 크기는 0.03mm~0.3mm정도 이므로 0.15mm이하(잔골재 미립분이나,석분)크기가 많이 들어가면 기포형성이 안되고 오히려 기포가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서 공기량이 줄어드는 겁니다..또한 석분이 많이 들어간 골재를 쓰는 경우는 단위수량과 시멘트량이 늘어나는 배합이 되어서 역시 기포가 파괴됩니다...참고하세요...

    2)질문하신 부분은 이론적으로는 그럴 수 있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있습니다,,마찮가지로 시멘트의 입자가 모래보다는 더 작은 입자이지만 이것이 많아지면, 공기량이 감소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공기량은 잔골재율에도 영향을 받구요,잔골재의 입도에도 영향을 받습니다.참고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