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한규대 교수님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한규대
글쓴이 정*영 등록일 2021.08.19 답변상태 답변완료
  • 1.다공질 재료가 왜 단열성이 우수한건가요?? 

     2. 포화도와 유체의 밀도가 클수록 왜 투수계수도 커지는건가요?? 

    포화도와 밀도가 크면 빽빽한건데 그럼 투수계수가 작아져야하는거 아닌가요?

     

  • 한규대 |(2021.08.20 03:23)

    답변입니다:

    1)*첫번째 질문은 간단한 예로 설명을 드릴께요..철재료는 거의 공극이 없어요,,그래서 철로만든 플라이팬을 가열하면 빨리 뜨거워지지요,,이것은 철의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입니다,,철은 비중이 7.85로 굉장히 크지요,,무겁다는 검니다,..즉 공극이 없는 무거운 물질은 열전도가 빨라지므로 내화성능이 작아지고,(그래서 철골로만든 구조는 내화피복을 하는 검니다.)단열성능도 작아지는 것입니다../반대로 공극이 많이 존재하는 ALC 판넬이나 ALC 콘크리트는 비중이 0.45~0.55 정도로 가볍구요,열전도율이 작아서 내화성이 크고,단열성능도 우수하다고 하는 검니다.즉 공극이 많으면 열전이나 전달이 느려지므로 단열이 되는 것이지요../

    2)포화도를 잘못 알고 계시네요,,,포화도=물의 용적/간극부분의 용적 X100% 입니다.즉 포화도가 100%라는 의미는 강바닥에 존재하는 흙처럼 흙의 공극이 모두 물로 채워져 있다는 의미 입니다,,그러니 포화도가 커지면 당연히 투수계수가 커지고 침투수량이 증가하는 검니다.../계속된 엄청난 강우로 인해서 지금 일본의 지반들의 포화도가 매우 증가되었는데 이 상태에서 지진(진동,충격)이 다시 온다면 지반의 지내력이 물처럼 되어서 저항력을 상실하는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되는 검니다,,/참고하세요...

목록

위로